
국립현대미술관이 세계 최초 구독형 아트스트리밍 플랫폼 ‘워치 앤 칠’의 세 번째 전시 ‘서스펜스의 도시, 워치 앤 칠 3.0’을 4월 12일부터 7월 23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개최한다.
‘워치 앤 칠’은 국립현대미술관이 구축, 세계 주요 미술관과 협력하여 기관별 미디어 소장품을 전 세계 구독자에게 공개하는 구독형 스트리밍 플랫폼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새로운 방식의 국제협력전시를 위해 2021년 플랫폼을 개설하여 M+ 등 아시아 4개 기관과 첫 번째 협력 전시를 개최하였으며, 2022년에는 유럽과 중동 주요 미술관과의 협력을, 올해는 미주 및 오세아니아 주요 미술 기관과의 협력으로 확장된다.
올해 ‘서스펜스의 도시, 워치 앤 칠 3.0’은 국립현대미술관과 호주 최대 규모와 역사를 지닌 빅토리아국립미술관(NGV), 18세기 건립 이래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미술관 중 하나인 피바디에섹스미술관(PEM), 멕시코 내 주요 미술관 20곳이 참여하는 대규모 미디어·퍼포먼스 행사인 토노페스티벌(TONO)과 함께 한다. 스토리텔링, 긴장감, 몰입의 경험을 강화하고자 새로 개편된 ‘워치 앤 칠 3.0’은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와 오프라인 전시를 동시에 열고 각 기관의 미디어 소장품 및 지역별 주요 작가 20여 명의 작품을 경험하게 한다. 온라인 플랫폼에서는 로그인을 통해 서비스 구독을 신청하면 한 주에 한 편씩 새로 공개된 미디어 작품을 한국어·영어 자막으로 감상할 수 있다. 동시에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개막하는 오프라인 전시에서는 건축가 푸하하하프렌즈(한승재, 한양규, 윤한진)가 전시와 동일한 제목의 건축 설치작 ‘서스펜스의 도시’(2023)를 선보이는데, 마치 가상 세계에 진입한 것 같은 미로 속을 탐색하며 경험하는 미디어 환경을 구축했다. 이 밖에 박찬경, 자콜비 새터화이트(Jacolby Satterwhite), 정재경, 세실 B. 에반스(Cecile B. Evans), 클럽 아테(Club Ate) 등 한국, 호주, 미국, 멕시코 등 여러 지역의 현대미술 작가, 디자이너, 영화감독 등이 참여했다.


‘서스펜스(suspense)’의 방법론을 구사하는 미디어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몰입으로 점유된 시공간을 탐색하는 이번 온라인 플랫폼과 전시의 콘텐츠는 ‘달빛 아래 풍경’, ‘증거의 재구성’, ‘몸의 변이’, ‘죽지 않는 퍼포먼스’, ‘디스토피아 이후 세계 짓기’ 다섯 가지 주제로 구성된다.
1부 ‘달빛 아래 풍경’은 기이함의 풍경을 다룬다. 2부 ‘증거의 재구성’에서는 허구적 서사 혹은 실제 역사 속 일어난 범죄의 증거들을 찾기 위한 감식의 노력을 다룬다. 3부 ‘몸의 변이’는 다른 어떤 것으로 변화하는 신체에 대해 이야기한다. 4부 ‘죽지 않는 퍼포먼스’에서는 삶의 유산을 재연함으로서 죽지 않음(不死)을 실험하는 퍼포먼스를 살펴본다. 5부 ‘디스토피아 이후 세계 짓기’에서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는 디스토피아(dystopia)의 환상을 살펴보며 재앙의 시각화가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재고해보고자 한다.
‘서스펜스의 도시, 워치 앤 칠 3.0’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의 전시 개막 이후 4월 하반기 멕시코 토노페스티벌(TONO)에 참여하는 뮤제오 마나후아칼리(Museo Anahuacalli) 등 다수 미술관에서, 11월 미국 피바디에섹스미술관(PEM), 내년 3월 호주 빅토리아국립미술관의 NGV 트리엔날레의 일환으로 국제 순회전이 순차 개막할 예정이다. 아트스트리밍 서비스‘워치 앤 칠 3.0’은 마지막 순회 전시가 끝나는 2024년 4월까지 운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