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나너의 기억' 개최
국립현대미술관 '나너의 기억' 개최
  • 주연욱 기자
  • 승인 2022.04.25 16: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억으로 보는 13인 13색

국립현대미술관이 기억을 주제로 한 기획전 나너의 기억을 오는 87()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개최한다.

기억(Memory)은 인간의 뇌가 받아들인 인상, 사건, 경험 등 정보를 저장한 것, 또는 시간이 지난 후 이를 떠올려내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 공동체집단, 사회가 축적한 다양한 기억은 작가의 통찰과 예술적 구현방식이 반영된 작품으로 재해석되어 왔다. 나너의 기억은 어제와 오늘의 정보가 급변하는 시대 상황 속에서 무엇을 삶의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지, 이를 위해 우리가 주체적으로 판단하고 반성하고 있는지, 나아가 무엇을 기억하고 남겨야 하는지 고민해보고자 마련되었다.

전시에 참여하는 루이즈 부르주아, 아크람 자타리, 안리 살라, 앤디 워홀, 양정욱, 임윤경, 세실리아 비쿠냐, 시프리앙 가이야르, 송주원, 허만 콜겐, , 박혜수, 홍순명 등 국내·외 작가 13()은 지역, 시대, 문화 등의 경계를 뛰어 넘어 다양한 관점에서 기억을 해석한다. 전시는 나너의 기억’, ‘지금, 여기’, ‘그때, 그곳세 가지 주제로 구성된다.

1나너의 기억에서는 인간의 생물학적 특징과 개인의 정체성, 경험 등이 기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우리는 다양한 외부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고 수집된 정보를 편집하여 기억으로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제한적인 인간의 오감과 서로 다른 개인의 정체성은 같은 일도 다양한 기억으로 남게 한다. 친구가 자는 모습을 촬영한 앤디 워홀의 <수면>(1963)을 통해 기억이 형성되는 과정을 은유하고, 경비원의 꿈 속 이야기를 상상한 양정욱의 키네틱 조각 <피곤은 언제나 꿈과 함께>(2013), 같은 사건을 서로 다르게 기억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은 임윤경의 영상작품 <Q&A>(2016), 시각정보와 인간의 뇌를 거쳐 기억으로 저장되는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허만 콜겐의 영상작품 <망막>(2018)을 선보인다.

2지금, 여기에서는 우리가 과거의 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기억하는지 살펴본다. 시간의 연속성과 기억의 관계를 표현한 루이즈 부르주아의 판화 연작 <코바늘>(1998), 매체에 의해 형성된 편파적 기억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아크람 자타리의 영상 <스크립트>(2018), 과거 자신의 경험을 통해 비춰본 다른 문화 속의 기억과 아픔에 대해 말하는 세실리아 비쿠냐의 영상 <나의 베트남 이야기>(2021), 과거 찬란했던 문화유산의 가치를 현재의 관점에서 재평가하는 시프리앙 가이야르의 영상 <호수 아치>(2007)를 통해 과거의 기억이 현재의 우리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발현되고 있는지, 어떻게 미래 세대에게 이어질지 질문한다.

3그때, 그곳에서는 미래 세대가 기억하는 과거, 즉 현재의 우리는 어떤 모습으로 남겨질지 고민해본다. 과거의 특정 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못한 이들은 기록되지 못한 부분을 상상의 영역으로 대체하게 된다. 기억은 문자로 기록될 수 없는 당시의 분위기, 감정, 시공간 등과 같은 수많은 공감각적 정보를 포함한다. 역사적 사건의 기록과 기억의 빈틈을 상상력으로 메우는 안리 살라의 <붉은색 없는 1395>(2011), 송주원의 <뾰루지.물집.사마귀.>(2021) 두 영상작품을 비롯해 뮌, 박혜수, 홍순명의 신작이 공개된다. 뮌은 동시대 이슈를 45개의 장면으로 구성한 설치작품 <오디토리움(Template A-Z)>(2022), 박혜수는 개인의 역사를 첫사랑을 주제로 되짚어보고 회화로 대상을 재구현한 영상 및 회화설치작품 <기쁜 우리 젊은 날>(2022), 홍순명은 바다라는 추상적인 풍경에 중첩된 수많은 기억을 표현한 회화 <비스듬한 기억역설과 연대>(2022)를 각각 선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